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17 No.1 pp.11-17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18.17.1.11

Levels of the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at Yeongwol county

Sihyun Park1, Taehyun Park1, Sejung Park2, YoungGi Kim3, Myunghee Kwon4, Joonsig Jung4, Cheolmin Lee1*
1Department of Nano and Biologica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2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3Department of Environmental Forest, Yeongwol County Office
4Indoor Air and Nois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Corresponding author : +82-2-940-2924cheolminlee1@gmail.com
20/10/2017 13/12/2017 21/12/2017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and reported the results of the distribution of in air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inside school classrooms where children, who are known to be environmentally vulnerable, spend the most time after ho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indoor air quality in Yeongwol county and studies for improving school environment. The study investigated the levels of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PM10 and PM2.5 in classrooms at 19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based in Yeongwol county from December 12 to 19, 2016. In the classrooms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Yeongwol county, the pooled average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was 11.9 μg/m3 and 4.2 μg/m3, respectively. These concentration rates were lower than those of PM10 and PM2.5 surveyed in classrooms of elementary schools based in other regions of Korea. Further, they did not exceed 100 μg/m3, the PM10 guideline concentration provided by the School Health Act.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winter concentrations of PM10 and PM2.5 in air inside classrooms of elementary schools based in Yeongwol county were influenced more by indoor sources such as indoor residents rather than outdoor sources.



영월군 내 초등학교 실내공기 중 PM10 및 PM2.5 분포 특성 조사 연구

박 시현1, 박 태현1, 박 세정2, 김 영기3, 권 명희4, 정 준식4, 이 철민1*
1서경대학교 나노생명공학과
2서경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3영월군청 환경산림과
4국립환경과학원 생활환경연구과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2013년부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호흡기 및 피부로도 침투가 가능해 심장질환 등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끼칠 수 있는 미세 먼지 및 초미세먼지를 석면 및 비소 등의 물질과 같은 등급인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을 확정 발표하는 등 지속적 인 관심과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다(Kim, 2017). 미세 먼지 내에는 탄소성분(검댕, 생물체 유기탄소), 이온성 분(염소, 질산, 암모늄, 나트륨, 칼륨 등), 금속성분(비 소, 납 수은 등), 다환방향족 탄화수소(벤조피렌 등)등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미세먼지 입자의 크기, 표면적, 숫자, 입자의 물리상태에 따라 건강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주 노출부위는 호흡기로 기관지염, 천식 및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악화, 폐렴, 폐암, 협심증, 심근 경색, 기관지염 등의 질병을 초래한다(Jang, 2014). 따 라서 국민건강의 증진 달성을 위하여 미세먼지 및 초 미세먼지의 관리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 학교는 하루 중 많은 시간을 보내는 주요 공간으로 제 2의 가정이라고 할 수 있으 며(Silvers, 1994), 특히 영유아 및 아이들은 신체적으 로 성장하는 과정에 있으며, 어른들보다 호흡량이 상대 적으로 많기 때문에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대한 감수성 이 높은 것으로 알려 졌다(Landrigan, 1998; Faustman, 2000). 또한 실내공기오염물질의 농도와 업무 수행 능 력에 관한 여러 선행된 연구에서 불량한 환기와 실내 공기 오염에 따라 집중력을 감소시키며, 타이핑, 계산 력, 논리적 사고, 기억 등의 업무 수행 능력에 차이를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Wargocki et al., 1999, 2000, 2004; Lagercrantz et al., 2000; Mendell et al., 2002; Daisey et al., 2003; Griffiths and Eftekhari, 2007). 따 라서 학교 환경의 실내공기질 관리는 교육 목표 달성 에 있어 매우 중요하며, 또한 어린이의 경우 환경취약 집단으로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보호해야할 환경보건학 적으로 매우 중요한 집단이라 할 수 있다.

    영월은 중첩된 산간 지역으로 시멘트 공장들이 위치 해 있으며 석회석 노천광산도 다수 분포하여 분진의 지역 배출량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 지 역은 시멘트 공장으로 인한 민원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영월 시멘 트 공장 주변지역 주민의 건강영향 조사를 수행하는 등 환경보건적으로 중요 지역이다(Cho et al., 2016). 영월의 경우 이와 같이 일반 대기환경 중의 유해오염 물질에 대한 영향에 대한 조사가 꾸준히 이루어져 오 고 있으나 실내공기질 조사 및 개선에 관한 연구는 전 무한 실정이며, 특히 환경약자인 영유아 및 어린이들의 활동공간인 학교 환경에 대한 조사 연구는 전무한 실 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월에 소재한 모 든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실 내 미세먼지의 농도분포 를 조사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영월지역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 및 학교 환경 개선 연구에 있어 기초적 자료 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 연구방법

    2.1. 연구 대상 및 측정방법

    본 연구의 2016년 12월 12일부터 19일까지 영월에 위치한 19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각 학교 내 일반 교 육을 수행하는 교실을 대상으로 PM10과 PM2.5를 조사 하였다. PM10과 PM2.5의 측정은 분진 측정기(MET ONE-831, Met One Instruments Inc., USA)을 이용하 여 1교시가 끝난 후 쉬는 시간에 조사대상 교실의 실 내공기질을 대표할 수 있는 중앙 지점에 학생들의 호 흡 영역 높이인 바닥으로부터 1 m 높이에 거치대를 이 용하여 설치하였다. 측정은 10분 단위로 측정 될 수 있 도록 하였으며, 2교시 수업시간과 휴식 시간 및 3교시 수업시간 동안 측정을 수행한 후 3교시 쉬는 시간에 회수함으로써 휴식 시간 동안에 학생들의 활동에 의한 먼지 농도분포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2.2. 병합평균농도 산출

    학교 교실 내 PM10 및 PM2.5 병합평균농도 산출은 다음과 같은 문헌 검색 및 선정조건을 설정하고 이 조 건에 적합한 연구결과만을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문헌 검색 조건은 ‘첫째, 학술정보관 학술데이터베이스 검색 중 국내 전자저널 검색 엔진을 이용한다. 둘째, 검색어 로는 ‘실내환경’, ‘학교’, ‘미세먼지’, ‘PM10’, ‘PM2.5’ 등으로 학교환경 및 교실 실내공기질을 의미하는 단어 를 활용한다. 셋째, 국내 관련 학술지에 제시된 논문으 로 하며, 학술대회 발표 논문은 제외한다.’로 설정하였 으며, 문헌 선정 조건으로는 ‘첫째, 본 연구와 동일한 측정방법(광산란법)을 이용한 연구결과만을 선정한다. 둘째, 결과 중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최소값이 제시된 연구결과를 선정한다.’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역분산 가중평균법(inverse variance weighted average)을 이용한 병합평균(pooled average : θ ¯ )의 산출은 병합평균의 추정량이 근사적으 로 정규분포 한다는 가정 식 (1)에 준하여 적용된다.

    θ i ¯ = N ( θ i , w i 1 ) , i = 1 , 2 , , k
    (1)

    여기서, wi θ i ¯ 의 역분산(inverse variance)로 w i = 1 v a r ( θ ¯ ) 이며, k편의 연구는 독립이다. 따라서 병합 평균 추정량을 θ 1 = θ 2 = = θ k = θ 라 가정할 때 이의 분포는 다음과 같이 근사정규분포가 된다.(2)

    θ i ¯ w i N ( θ w i , w i )
    (2)

    따라서 병합평균 추정량과 분산은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3)

    θ ¯ = i = 1 k θ ¯ i w i i = 1 k w i , V a r ( θ ¯ ) = 1 i = 1 k w i
    (3)

    θ i ¯ 가 근사정규분포함을 이용하여 θ i ¯ 의 95% 신뢰구 간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4)

    θ ¯ ± 1.96 1 i = 1 k w i
    (4)

    3. 결 과

    3.1. 영월 초등학교 교실 내 PM10 및 PM2.5 농도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국내 학교 실내 교실에서의 PM10과 PM2.5에 대한 농도 조사 결과들의 병합평균농 도와 본 연구에서 수행된 영월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 학교 교실에서 조사된 PM10과 PM2.5의 병합평균농도 간의 비교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PM10의 병합 평균 농도는 11.9 μg/m3이며, 이의 신뢰구간은 10.1-13.7 μg/m3인 것으로 조사되었으 며, 본 연구의 모든 조사대상 교실 내 PM10의 농도는 학교 보건법에서 정하고 있는 기준치인 100 μg/m3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초등학교 교실 내 PM10 농도 조사에 대한 선행된 결과들을 수집하고 이의 값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산출한 병합평균 농도는 76.9 μg/m3이며 신뢰구간은 51.5-99.2 μg/m3로 산출되 어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 내 PM10의 농도는 선행된국내 초등학교 교실 내 PM10농도에 비해 낮은 농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행된 연구 중 가장 낮은 PM10의 평균농도를 보인 곳은 Lee et al. (2011) 에 의해 울산광역시의 조선업종 인근 주거지역에 소재 한 초등학교에서 가을철 조사된 47.0 ± 20.6 μg/m3로 이 역시 본 연구에서 조사된 영월 소재 초등학교의 PM10의 농도에 비해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국내 초등 학교 교실 내 PM2.5 농도 조사 결과로 보고된 연구들 중 본 연구와 동일한 광산란법에 의한 PM2.5를 조사한 연구로는 Choi (2008)에 의해 2005년에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4개의 초등학교 교실에서 이루어진 조사이다. 이 연구에서의 초등학교 교실 내 PM2.5의 평균농도는 49.6 μg/m3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 내 PM2.5의 병합평균농도는 4.2 μg/m3Choi (2008)에 의해 수행된 연구결과에 비 해 낮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2. 주변 환경 특성에 따른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 내 PM10 및 PM2.5 농도 비교

    Table 2는 조사대상 학교 주변에 시멘트 공장, 시멘 트 클리커, 석회공장, 연탄공장 및 영월역과 태백선로 와 38국도의 교차로가 학교로부터 3 kg 이내 위치하고 있는 학교들과 이들 발생원이 소재하지 않은 학교들로 구분하여 이들 학교들 교실에서의 PM10과 PM2.5 농도 분포를 비교하였다. 조사대상 학교 주변에 미세먼지 발 생원으로 알려져 있는 발생원이 존재하는 학교 교실 내 PM10과 PM2.5의 평균농도는 12.6 ± 8.1 μg/m3, 4.3 ± 2.1 μg/m3인 반면 발생원이 존재하지 않는 학교 교실 내 PM10과 PM2.5의 평균농도는 각각 17.4 ± 8.6 μg/m3, 5.7 ± 2.3 μg/m3로 조사되었으며, 발생원 유무에 따른 PM10과 PM2.5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각 p<0.05). 이는 본 조사가 겨울 철에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공기의 유입이 차단된 상태 로 겨울철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 내 공기 중의 PM10 및 PM2.5 농도는 실외 발생원에 의한 영향보다는 실내 발생원 등의 다른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 사하는 결과로 여겨진다.

    3.3. PM10과 PM2.5의 구성비 비교

    미세먼지의 발생원 규명에 관한 연구 대부분은 미세 먼지 내에 함유물들의 성분 분석 및 통계적 분석을 활 용하여 발생원 규명 등을 수행하여오고 있다. 본 연구 는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 실내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조사하였으나 미세먼지 내의 함유물에 대한 성 분의 정성적,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지 않아 기존 연구 들과는 달리 발생원 규명을 정량적으로 수행할 수 없 으나 PM10 농도에 함유되어 있어 있는 PM2.5 농도의 구성비의 조사를 통해 교실 실내 공기중의 미세먼지 농도 증감에 기여하는 발생원의 실내외 위치를 규명하 고자 하였다.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 내 PM10에 대한 PM2.5 농 도의 구성비를 조사대상 학교 주변 3 kg 내에 시멘트 공장, 시멘트 클리커, 석회공장, 연탄공장 및 영월역과 태백선로와 38국도의 교차로 유무 즉, 실외 발생원 유 무로 구분하여 산출하였다(Table 3). 조사 대상 학교 주변에 실외 발생원이 존재하는 교실에서의 PM2.5 농 도 구성비는 0.38 ± 0.11, 실외 발생원이 존재하지 않는 교실에서의 구성비는 0.37 ± 0.13으로 조사되었다. 실 내 공기 중의 PM10-PM2.5농도의 경우 실내 발생원에 영향을 받으며, 입자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실내 발생원 보다는 실외 인위적 오염원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 로 보고되고 있다(Brani et al., 2005; Choi., 2008;). 이 와 같은 선행 연구결과들의 보고를 고려할 때 본 연구 에서 조사된 PM2.5 구성비의 경우 실외 발생원 유무와 관련 없이 모두 0.4미만으로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 내 미세먼지는 주로 입경이 큰 미세먼지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영월 초등학교 교실 내 미세먼지의 경우 주로 실내 발생원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의 결과는 앞의 주변 환 경 특성에 따른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 내 PM10 및 PM2.5 농도 비교의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4. 고 찰

    학교 교실 실내공기 오염물질들은 학생들에게 기침, 천식 악화, 폐기능 감소 등을 유발할 수 있고, 급성기 관지염과 폐렴으로 병원 입원을 증가시키며(Barnett et al., 2005), 아토피와 천식의 유발(Mendell and Health, 2005) 및 두통, 집중 저하 등의 신경학적 증상을 야기 시키는 등(Otto et al., 1992) 학교 내 공기 오염물질로 인해 다양한 건강상의 영향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성 장기에 있는 학생들이 이용하는 학교 환경의 열악한 실내공기질은 상기에 제시한 질병들의 야기 뿐 만 아 니라 결석과 학업능률과도 연계되어 있다(Everret Jones et al., 2010). 최근 국내의 경우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자동차로부터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주변 중국의 산업화 및 황사현상에 의한 장거리 유해공기오염물질 의 유입 등에 의한 미세먼지의 증가는 대기환경 오염 증가로 인한 국민 건강 저하의 사회적 환경문제로 등 장하였으며, 이와 추세를 맞춰 실내 환경에서의 미세먼 지 농도와 건강영향에 관한 연구 역시 사회적 환경문 제로 등장하였다. 미세먼지와 호흡기계 질환과의 관련 성을 평가한 연구는 40편 이상 발표되었으며(Pope 3rd, 2000), 최근에는 미세먼지(PM10)보다 직경이 작은 초미세먼지(PM2.5)가 더욱 인체에 유해하다고 하여 초미 세먼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Schwartz et al., 1996; Neuberger et al., 2004). 본 연구의 연구 대상 지역인 영월의 경우 중첩된 산간지역으로 석회석 노천 광산이 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S양회 공장과 H시 멘트 공장이 존재하는 등 중대규모의 점오염원이 존재 하여 강원도내 PM10 및 PM2.5의 배출량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보고되어 왔다. 이로 인해 지역주민의 폐질환 관련 건강 민원이 끊임없이 발생하였으며 국립환경과 학원 및 다수의 연구기관들이 실외공기 중 PM10 농도 조사 등과 같은 공기질 조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오 고 있다(Cho et al., 2016). 그러나 실내공기질에 관한 조사 특히 청소년들의 제 2의 가정으로 알려져 있는 학교 환경에 대한 실내 공기 중의 PM10 농도분포 특성 및 건강영향에 관한 조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영월 실외공기 중의 오염 도 조사가 아닌 실내공기 특히 학교 내 실내공기 중의 PM10 및 PM2.5의 농도 조사를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로 영월 소재 전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실 내 PM10 및 PM2.5의 농도분포 조사를 최초로 수행하였다는데 큰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나아가 향후 영월 지역 실내공 기질 연구에 있어 기반을 수립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할 수 있다.

    영월 초등학교 교실에서 조사된 연구 PM10 및 PM2.5 의 농도분포와 국내 초등학교 교실의 PM10 및 PM2.5 농도분포를 비교하기 위해 과거 국내 초등학교 교실에 서 조사된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이들 수집된 연구자료 들 중 본 연구와 동일한 측정방법인 광산란법을 이용 하여 조사한 연구 결과들을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병합 평균 농도를 산출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메타분석법을 이용하여 병합평균농도를 산출하고 이들 산출된 병합평균농도간의 비교를 통한 영월 소재 초등 학교 교실 내 PM10 및 PM2.5의 농도분포 수준을 평가 한 이유로는 국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실 내 PM10 및 PM2.5 농도분포를 조사한 연구가 수편으로 이들 결 과 값들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메타분석의 효과크기 분 석(analysis of effect magnitude measurement)의 한 방 법인 역분산 가중 평균법(inverse variance weighted average) 산출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선행된 연 구결과들 즉 평균 농도들로부터 각 연구의 크기(자료 수 등)가 고려된 병합평균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연구 기간 및 연구범위 한정에 의한 연구결과 신뢰성 결여 를 극복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으로 알려져 있다(Lee and Kim, 2004). 본 연구에서 조사된 영월 소재 초등 학교 교실에서의 PM10 및 PM2.5의 병합 평균 농도는 각각 11.9 μg/m3, 4.2 μg/m3로 국내 타지역 소재 초등 학교 교실에서 조사된 PM10 및 PM2.5에 비해 낮은 농 도를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월 지역 초등학교 교 실의 PM10 및 PM2.5가 낮은 농도를 보인 이유로는 조 사 기간이 겨울철에 이루어져 창문 등을 통한 외부로 부터의 오염물질의 유입이 적었으며, 또한 Brani et al. (2005)의 보고에 의하면 교실 내 미세먼지의 농도와 학 생 수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학생 수의 경우 교 실의 실내 발생원임을 제시한 결과와 Shaughnessy et al. (2006)의 교실환경은 다른 실내 환경에 비해 동일 면적에 비해 재실중인 학생 수가 많아 미세먼지, 이산 화탄소 등 실내 공기환경이 열악한 상태임을 보고한 결과를 고려할 때 영월 소재 초등학교 재실인원수가 기존 연구의 재실인원수에 비해 적어 학생들 활동에 의한 실내 PM10 및 PM2.5 발생량이 낮아 나타난 결과 로 여겨진다. 영월 소재 초등학교는 총 19개 학교로서 이들 학교 중 한 학급이 10명 이상인 학교는 6개(32%) 학교이며 이중 20명 이상인 학교는 1개(5%)의 학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학급인원이 5명이하인 학교 는 10개로 영월 소재 전체 초등학교 중 50% 이상의 학교가 한 학급당 5명 이하로 실내 학생들에 의한 PM10 및 PM2.5의 발생량이 다른 지역의 초등학교에 비 해 매우 낮아 기인된 결과로 사료된다. 다음의 Table 4 는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에서 교실 인원수에 따른 조사된 PM10 및 PM2.5 농도를 비교한 것으로 10인 이 상 거주 교실에서의 PM10 및 PM2.5 농도가 10인 미만 거주 교실에서의 각각의 농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 한 높은 농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어(p<0.05) 교실 재실인원수와 먼지 농도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가 있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 내 낮은 PM10 및 PM2.5 농도 분포는 교실 내 재실인원수가 적어 낮은 농도 분포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 주변 미세먼지의 발생원 즉 실외 발생원에 의 한 영월 소재 학교 교실 실내공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 가하기 위해 조사대상 학교 주변 3 kg 이내에 시멘트 공장, 시멘트 클리커, 석회공장, 연탄공장 및 영월역과 태백선로와 38국도의 교차로 위치하고 있는 학교 교실 과 이외 학교 교실에서의 PM10과 PM2.5의 농도분포를 비교한 결과 실외발생원이 위치하고 있는 학교 교실에 서의 PM10과 PM2.5의 농도분포가 실외발생원이 없는 학교 교실에 비해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 의 조사가 겨울철에 이루어졌으며, 조사 당시 창문이 닫혀 있는 상태로 외부공기의 유입이 차단된 상태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또한 PM10에 대한 PM2.5 농도 의 구성비를 조사한 결과 전체 조사대상 교실 모두 약 0.4이하의 구성비를 나타내고 있어 Choi (2008)와 Brani et al. (2005)의 실내 공기 중의 PM10-PM2.5농도 의 경우 실내 발생원에 영향을 받으며, 입자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실내 발생원보다는 실외 인위적 오염원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를 고려할 때 영월 초 등학교 교실 내 미세먼지의 경우 주로 실내 발생원 즉, 교실 거주자의 활동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는 영월에 소재하고 있는 전체 초등학교 교 실 내 미세먼지 농도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일환 으로 수행된 연구로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 내 PM10 과 PM2.5는 낮은 농도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실외 발 생원에 의한 영향보다 실내 발생원에 의한 영향을 받 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시간동 안 1회측정을 실시하여 측정 대상별로 상이한 측정환 경에 민감하며 겨울철에 이루어진 조사 연구로 단열 등을 위한 목적으로 외부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실외 발생원에 의한 영향이 배제 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추 후 타 계절의 다회 측정 조사 연구를 통한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 내 PM10과 PM2.5의 농도분포 특성 파악 을 위한 추가적 연구 수행이 요구되어진다.

    5. 결 론

    영월은 시멘트 공장 및 석회석 노천광산 등 다수의 분진 배출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관련 민원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어 과거 정부 및 여러 연구기관들에 의해 실외 미세먼지 농도 조사 연구 및 주민 건강영향 조사 등이 수행되어졌으나 실내환경에 대한 조사는 전무한 실정에 있다. 본 연구는 환경약자로 알려져 있는 어린 이들이 주택 이외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 교실 내 미세먼지 농도분포를 조사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영월지역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 및 학교 환경 개선 연 구에 있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6년 12월 12일부터 19일까지 영월에 위 치한 19개 초등학교 일반교실 내의 PM10과 PM2.5 농 도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통해 획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PM10 및 PM2.5의 병합 평균 농도는 각각 11.9 μg/m3, 4.2 /m3로 국내 타지역 소재 초등학교 교실에서 조사된 PM10지 및 PM2.5에 비해 낮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조사대상 모 든 교실에서 조사된 PM10 농도는 학교 보건법에서 정 하고 있는 기준치인 100 μg/m3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실내외 발생원 유무에 따른 교실 실내 공기중의 PM10과 PM2.5의 농도분포를 비교한 결과 본 연구의 경우 겨울철에 수행된 연구로 단열난방을 위한 이유 등으로 실외 발생원에 의한 영향보다 재실인원수 등의 실내 발생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영월 소재 초등학교 교실의 실내공기질 조사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연구로 연구기간 및 조 사항목 등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제한적인 연구 결과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영월 소재 초등학교를 대상 으로 최초로 수행된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로서 이 연 구를 바탕으로 향후 영월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 인 실내공기질 조사 연구 수행이 기대된다.

    Figure

    Table

    Comparison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 distribu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t Youngwol county and domestic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Comparison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t Youngwol count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utdoor sources

    PM2.5/PM10 composition ratio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t Youngwol count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utdoor sources

    Comparison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at Youngwol coun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classroom

    Reference

    1. A.G. Barnett , G.M. Williams , J. Schwartz , A.H. Neller , T.L. Best , A.L. Petroeschevsky , R.W. Simpson (2005) Air pollution and child respiratory health: a case-crossover study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Am. J. Respir. Crit. Care Med., Vol.171 (11) ; pp.1272-1278
    2. M. Brani (2005) The effect of outdoor air and indoor human activity on mass concentrations of PM10, PM2.5, and PM1 in a classroom., Environ. Res., Vol.99 (2) ; pp.143-149
    3. S.H. Cho , H.W. Kim , Y.J. Han , W.J. Kim (2016)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s measured in two different functional areas and identification of factors enhancing their concentrations., J. Korean Soc. Atmos. Environ., Vol.32 (1) ; pp.100-11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T.J. Cho , H.S. Choi , Y.T. Jeon , C.W. Lee , J.D. Lee , H.M. Jou , B.S. Son (2008) The study of indoor air quality at schools in Chung-Nam area., J. Environ. Sci. (China), Vol.17 (5) ; pp.501-50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S.J. Choi (2008) The effect of outdoor air and indoor human activity on mass concentrations of size-selective particulate in classroom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ol.34 (2) ; pp.137-14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M. Daisey , W.J. Angell , M.G. Apte (2003) Indoor air quality, ventilation and health symptoms in schools : An analysis of existing information., Indoor Air, Vol.13 (1) ; pp.53-64
    7. S. Everett Jones , A.M. Smith , L.S. Wheeler , T. McManus (2010) School policies and practices that improve indoor air quality., J. Sch. Health, Vol.80 (6) ; pp.280-286
    8. E.M. Faustman , S.M. Silbernagel , R.A. Fenske , T.M. Burbacher , R.A. Ponce (2000) Mechanisms underlying children susceptibility to environmental toxicants., Environ. Health Perspect., Vol.108 ; pp.13-21
    9. M. Griffiths , M. Eftekhari (2008) Control of CO2 in a naturally ventilated classroom., Energy Build., Vol.40 (4) ; pp.556-560
    10. A.S. Jang (2014) Impact of Particulate matter on health., J. Korean Med. Assoc., Vol.57 (9) ; pp.763-76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H. Jung , B.S. Seo , D.J. Ju , M.C. Park , B.H. Shon , Y.G. Phee (2010) Assessment of the indoor air quality at schools in Uls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Vol.36 (6) ; pp.472-47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B. Kim (2017) Assessment and estimation of particulate matter formation potential and respiratory effects from air emission matters in industrial sectors and cities/reg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39 (4) ; pp.220-22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 Lagercrantz , M. Wistrand , U. Willen , P. Wargocki , T. Witterseh , J. Sundell (2000) Negative impact of air pollution on productivity: previous Danish findings repeated in new Swedish test room., Proceedings of Healthy Buildings 2000 Conference, ; pp.653-658
    14. P.J. Landrigan (1998) Environmental hazards for children in USA., Int. J. Occup. Med. Environ. Health, Vol.11 (2) ; pp.189-194
    15. C.H. Lee , B.K. Lee , Y.H. Kim , J.H. Lee , I.B. Oh (2011) Analysis of indoor air pollutants from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with different environment in Ulsan, Kor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Vol.27 (1) ; pp.97-11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C.M. Lee , Y.S. Kim (2004) Analysis of research trend for indoor air pollutants and health risk assessment in public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Vol.1 (1) ; pp.39-6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J. Mendell , W.J. Fisk , M.R. Petersen , C.J. Hines , M. Dong , D. Faulkner , J.A. Deddens , A.M. Ruder , D. Sullivan , M.F. Boeniger (2002) Indoor particles and symnptoms among office workers: results from a doubleblind cross-over study., Epidemiology, Vol.13 (3) ; pp.296-304
    18. M.J. Mendell , G.A. Heath (2005) Do indoor pollutants and thermal conditions in schools influence student performanc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door Air, Vol.15 (1) ; pp.27-52
    19. M. Neuberger , M.G. Schimek , F. Horak Jr, H. Moshammer , M. Kundi , T. Frischer , B. Gomiscek , H. Puxbaum , H. Hauck (2004) Acute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on respiratory diseases, symptoms and functions: epidemiological results of the Austrian Project on Health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AUPHEP)., Atmos. Environ., Vol.38 (24) ; pp.3971-3981
    20. D.A. Otto , H.K. Hudnell , D.E. House , L. MA,lhave , W. Counts (1992) Exposure of humans to a volatile organic mixture. I. Behavioral assessment.,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An International Journal, Vol.47 (1) ; pp.23-30
    21. C.A. Pope III (2000) Epidemiology of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human health: biologic mechanisms and who ?(tm)s at risk?, Environ. Health Perspect., Vol.108 ; pp.713-723
    22. J. Schwartz , D.W. Dockery , L.M. Neas (1996) Is daily mortality associated specifically with fine particles?, J. Air Waste Manag. Assoc., Vol.46 (10) ; pp.927-939
    23. R.J. Shaughnessy , U. Haverinen-Shaughnessy , A. Nevalainen , D. Moschandreas (2006) A preliminary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ventilation rates in classrooms and student performance., Indoor Air, Vol.16 (6) ; pp.465-468
    24. A. Silvers , B.T. Florence , D.L. Rourke , R.J. Lorimor (1994) How children spend their time a sample survey for use in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Risk Anal., Vol.14 (6) ; pp.931-944
    25. P. Wargocki , D.P. Wyon , Y.K. Baik , G. Clausen , P.O. Fanger (1999) Perceived air quality, sick building syndrome (SBS) symptoms and productivity in an office with two different pollution loads., Indoor Air, Vol.9 (3) ; pp.165-179
    26. P. Wargocki , D.P. Wyon , J. Sundell , G. Clausen , P. Fanger (2000) The effects of outdoor air supply rate in an office on perceived air quality, sick building syndrome (SBS) symptoms and productivity., Indoor Air, Vol.10 (4) ; pp.222-236
    27. P. Wargocki , D.P. Wyon , P.O. Fanger (2004) The performance and subjective responses of call-center operators with new and used supply air filters at two outdoor air supply rates., Indoor Air, Vol.14 (s8) ; pp.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