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22 No.4 pp.306-313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3.22.4.306

A study on the removal of total hydrocarbons (THC) using Mn-Mg-Al2O3 catalyst

Seok Won Shim, ·Seung Joon Park*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and Biotechnology, Tech University of Korea
* Corresponding Author: Tel: +82-31-8041-0618 E-mail: sjpark@tukorea.ac.kr
08/11/2023 27/11/2023 27/11/2023

Abstract


In this study, a THC removal system was developed using an oxidation catalyst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thermal oxidation methods, RTO and RCO. In addition, this system was applied to industrial sites to confirm the VOCs removal efficiency. As a result of testing to remove THC and VOCs by applying the reaction system for THC removal in industrial sites, the THC removal efficiency range is between 99.5% and 99.9%. The treatment efficiency of individual VOCs treated through this system was the lowest at 79.0% for methylethylketone and the highest at 91.3% for acetaldehyde, and the average treatment efficiency was about 85.4%. From these numbers, the performance was superior to the existing RTO and RCO systems that showed THC removal performanc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oxidation reaction of the oxidation catalyst is a very fast catalyst surface rea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alytic oxidation reaction are complete oxidation and oxidation reaction under rarefied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catalyst role in the reaction system for THC removal is to process THC simultaneously with the system heat source. This is believed to be because the reaction of the oxidation catalyst is a strongly exothermic reaction and can sufficiently provide the amount of heat necessary for the system. At the same time, an oxidation reaction that breaks the bonds of the THC component also occurs. This reaction is a strong exothermic reaction, which can help the system maintain a high temperature during the reaction, and is considered an effective system for processing high concentrations of THC in actual industrial sites where THC concentrations are high, as in this study.



Mn-Mg-Al2O3 촉매를 이용한 총탄화수소 (THC) 제거에 관한 연구

심석원, 박승준*
한국공학대학교 융합기술에너지 대학원 생명화공과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은 산업현장에서 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로서 인체 와 동식물에 유해하고, 대기 중에 배출되어 2차 반응 을 통해서 초미세먼지가 되는 환경오염 물질이다 (Berenjian et al., 2012). 발생원에서 배출되는 VOCs로 대표적인 것은 BTEX (벤젠, 에틸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계와 알코올류, 에스테르, 유기용매 등이 있다. 이 중 방향족 탄화수소계열의 BTEX는 벤젠 고리를 포함 하고 있어서 혼성 구조로 인한 공명 에너지가 높아 안 정적이고 σ-결합을 이루어 비교적 산화가 힘들다. 또 한, 분자구조가 크기 때문에 산화과정에서 촉매 기공 에 탄소침적을 일으켜 쉽게 비활성화를 유발한다(Lee et al., 2012;Yang et al., 2020).

    VOCs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촉매산화 (catalitic oxidation), 열 산화(adsorption), 흡수(absorption), UV 산화(UV oxidation), 바이오 필터(bio filter) 등이 주로 사용된다(Ojala et al., 2015). 폐열을 재이용 하여 경제적 효과를 가지는 축열식 산화(regenerative temperature oxidation; RTO)와 200 ppmv 이하의 저농 도 VOCs를 1,000~1,500 ppmv 범위로 농축하여 촉매 산화 처리하는 축열식 촉매 산화(regenerative catalytic oxidation; RCO)도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Schenk et al., 2009).

    활성탄 흡착처리방법은 초기 설치비용은 저렴하나 처리효율이 비교적 낮고 활성탄 교체 시 발생되는 비 용과 활성탄 가격 상승 등 유지 및 보수비용의 증가 로 사용에 많은 제한이 있다. 연소방법에서도 직접연 소, 촉매연소, 축열연소 등이 존재하고 있으며, 가장 효율이 우수한 방법으로 축열연소 방법이 많이 사용 된다. 축열 연소에는 RTO와 RCO가 있고, 현재는 RTO 가 주를 이루고 있다. RTO 시스템은 820°C 내외의 고 온에서 유해가스를 연소시켜 처리하는 방식으로 처 리효율은 우수하나, 초기 설치비용 및 연료비, 유지 및 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Schenk et al., 2009).

    특히 RCO 시스템의 경우, 산화촉매는 백금계열 촉 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 또한 고가이며, 400°C 이 상에서의 소결현상과 가스성분 중 극소량의 황성분 혹은 탄소침적으로 생성되는 피독현상에 대한 취약 한 단점이 있다. 또한 RTO 시스템은 촉매산화 현상이 없기 때문에 시스템의 운전온도는 약 820°C 내외이며, 화염버너를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화재에 대한 위험 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특히 가스의 흐름이 복잡하 고 세라믹 축열재의 내구성으로 야기되는 열파현상, 유로의 변화로 인한 역화로 안전상 문제가 큰 단점이 다(Schenk et al., 2009).

    연소에 의한 VOCs 제거 시 기존 방법으로는 산소 를 공급하여 화염을 발생시켜 650~800°C의 비교적 고 온에서 연소시켜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VOCs를 이론상으로는 99% 이상 처리 하는 직접 산화 장치를 사용한다. RTO의 경우 최근 연 구결과 VOCs의 제거효율이 92.0~93.7% 인 것으로 보 고된 바 있다(Hao et al., 2018).

    촉매산화법은 고정원에서 발생된 VOCs를 촉매로 산화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직접연소법 보다 낮은 반응온도에서 VOCs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연간 운전비가 적게 들어 경제적이다. 또 한, 시스템을 간소화 할 수 있어서 설비확장이 용이 하다(Janine and Michael, 2004).

    Mn은 다른 물질(K, Fe, Zr 등)을 도핑하거나 합성하 여 촉매로 많이 사용된다. MnOx의 높은 산화환원전 위와 결정구조가 CO, VOCs의 제거에 효과적으로 작 용한다. 단점으로는 약한 표면 전자 이동성과 낮은 비 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이 있다. Reverse micro emulsion method, molten salt method, redox coprecipitation way, sol-gel method 등이 Mn와 물질을 합성하거나 Mn을 산화할 때 사용된다. 연소시키고 싶 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method를 선택할 수 있다(Guo et al., 2021).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열적산화 방식인 RTO 및 RCO 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산화촉매를 이용하여 THC 제거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또한, 이 장치를 실제 산 업현장에 적용하여 THC 및 VOCs 제거효율을 확인 하여 THC의 경우 99% 이상의 결과를 얻어서 향후 이 시스템이 산업현장에서 THC 제거에 있어서 기존 시 스템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 구에서와같이 THC 농도가 높은 실제 산업현장에서 고농도 THC의 처리에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사료된다.

    2. 실험방법

    2.1 Mn-Mg-Al2O3 촉매의 제조

    본 연구에서는 촉매로 금속염의 경우 질산염 망간 (manganese nitrate)과 질산염 마그네슘(magnesium nitrate)을 사용하였다. 산화 촉매의 성분은 Mn-Mg- Al2O3이며, 알루미나(Al2O3) 무게를 기준으로 Mn은 3 wt%, Mg은 1.5 wt%를 각각 증류수에 용해시켰다. 증 류수의 양은 Al2O3의 부피보다 10% 초과하여 사용하 였다. 여기서 사용한 알루미나 비드(bead)는 비표면 적이 높은 감마-알루미나(γ-Al2O3)를 사용하였다. 비 표면적은 약 250~300 m2/g, 밀도는 0.75 g/ml, 비드는 직경 4~6 mm의 크기를 사용하였다.

    금속염 용액과 감마 알루미나 비드를 혼합한 후, 90°C 로 가열하여 수분만 증발시켜서 금속 전구체 물질이 감마알루미나 비드 표면에 함침되도록 하였다. 함침 을 완료한 감마알루미나의 내부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100°C 건조 오븐에서 10시간 동안 건 조하였다. 최종 연소촉매 구조인 스피넬과 헥사알루 미네이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1,200°C까지 5°C/ min의 속도로 온도를 높인 다음 6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2.2 Mn-Mg-Al2O3 촉매의 물성 분석

    본 연구에서 제조한 Mn-Mg-Al2O3 촉매의 물리화학 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X-ray Diffraction, XRD, D-Max2500, Rigaku, CuKα radiation) 과 질소 등온 흡탈착 측정(N2 adsorption-desorption isotherms, BELsorp, BEL Japan) 분석을 진행하였다.

    촉매의 결정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서, XRD 측정 장 비(D-Max2500, Rigaku, CuKα radiation)를 이용하였 다. 질소 등온 흡탈착 방법을 사용하여 촉매의 비표 면적, 기공 부피 및 기공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촉매 의 비표면적은 Brunauer -Emmett-Teller (BET)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3 Mn-Mg-Al2O3 촉매의 제거성능 분석

    Fig. 1에 산화촉매를 이용한 THC 제거용 반응 시스 템의 구조와 설계를 나타내었다. Fig. 1에서와 같이 반 응 시스템은 크게 혼합부, 촉매부 및 배출부로 구성 되어 있다. 직경은 약 300Å (외경 약 323 mm, 두께 4.5 mm, SCH 10S)으로 제작하였다. 장치에서 혼합부는 공정가스와 연료가스를 혼합하는 역할을 하고, 산화 반응을 하기 전 가스의 예비 혼합기 역할을 한다.

    본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촉매부로 여기 에 산화촉매가 충진되며, 초기 점화를 위해서 점화용 버너가 사용된다. 또한, 측면에 관찰 창을 두어서 촉 매의 상태 변화를 수시로 확인하였다. 촉매부에 충진 되는 촉매의 양은 약 5 kg 이며, 촉매층의 높이는 90 mm 이다.

    THC 농도 측정은 환경부 형식승인(ASGAS-2017-1 호) 기기인 POLARIS FID (정확도 0.6 ppm, Pollution Analytical Equipment)를 사용하였다. VOCs는 GC/ MSD (Perkin Elmer GCMS2400)를 이용해서 분석하였 다. 혼합부와 촉매부 사이에는 공정에서 가스가 잘 혼 합될 수 있게 메트리스 구조의 완충부를 두었다.

    배출부는 촉매 층에서 산화 처리된 공정 가스가 외 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굴뚝과 연결되는 부 분으로 산업현장의 조건에 따라 설계 변경이 가능한 부분이다. 처리 용량은 최대 10 Nm3/min이며, 현장 조 건에 따라서 용량이 2~8 Nm3/min로 바뀔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Mn-Mg-Al2O3 촉매의 특성

    Fig. 2에 Mn-Mg-Al2O3 촉매의 XRD 분석 데이터를 나타내었다. 이 산화촉매는 1,200°C 소성 과정을 거치 면서 고온에서 우수한 성능 및 내구성을 나타내는 스 피넬 구조와 헥사알루미네이트 구조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지지체로 사용한 감마알루미나가 고온의 열 처리로 인하여 알파알루미나로 상변화가 되면서 강 한 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동시에 Mn- Mg-Al2O4 구조의 스피넬 구조와 함께, 헥사알루미네 이트 구조가 동시에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 은 함침법으로 제조하여 촉매 표면에서는 강한 스피 넬 구조와 헥사알루미네이트 구조가 동시에 나타나 기 때문이다.

    Table 1은 1,200°C에서 소성된 산화촉매의 비표면적 및 기공부피, 기공크기 등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 것 이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Mn-Mg-Al2O3 촉매의 비표 면적은 일반 알파알루미나 보다 높은 수준이다. 기공 의 크기는 약 3 nm 정도로 메조 영역의 기공이 발달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촉매 표면반응에 유리하 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산화반응은 촉매 표 면반응이며, 아주 빠른 반응속도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3.2 THC 제거성능

    반응시스템은 자체 평가를 거친 후, 실제 산업현장 에 적용하여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Table 2에 반응 시스템의 유량 및 성능 테스트 결과, 공정가스의 유 량, 메탄가스의 유량 조건, 메탄가스 농도를 나타내었 다. 자체 유량 테스트에서는 일반 공기를 사용했기 때 문에 THC의 농도는 0이다. 실제 현장에 적용 시 조건 에 따라 THC 농도는 평균 1,200 ppm 수준이었으며, 최 고 6,000 ppm 이상의 고농도를 나타내기도 했다.

    산화촉매를 적용한 THC 제거용 반응 시스템에 대 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페인트 및 화학전문 기업 생산현장에 설치하여 FID가 장착된 THC 측정기를 이 용하여 THC 제거 효율을 측정하였다. Fig. 3은 생산 현장에 설치된 THC 제거용 반응 시스템 사진이다. Table 3은 안양에 위치한 N사에 본 시스템을 적용하여 산 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THC를 제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4는 안산에 위치한 페인트 계열 케미컬 기업 N사에 본 시스템을 적용하여 생산현장에서 발 생되는 THC를 제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 결 과 두 개의 생산현장에서 공통적으로 THC 제거 효율 이 99.5% ~ 99.9%로 THC를 거의 완전히 제거한 결과 가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현재까지 THC 제거가 가 장 우수하다고 보고된 RTO와 RCO 시스템보다 우수 한 성능이라고 판단된다.

    산화촉매 종류에 따라 운전온도는 다소 상이하지 만 THC 제거 효율은 모두 99.5% ~ 99.9%로 거의 동일 한 수준이었다. 헥사알루미네이트 구조의 산화촉매 의 운전온도는 800°C 수준이었다. 스피넬과 헥사알루 미네이트 구조를 동시에 가지는 산화촉매의 운전온 도는 700°C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산화촉매의 구 조 및 성분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3.3 VOCs에 대한 제거성능 평가

    반응시스템에 대한 스크린 테스트 개념으로 THC 제거성능을 평가한 후 별도의 시료를 포집 및 분석하 여 개별 VOC에 대한 제거성능을 평가하였다. Table 5 에서 개별 VOC 물질중 가장 농도가 높은 것은 톨루 엔으로 처리 전 농도는 158.7 ppm으로 고농도를 나타 났으며, 본 처리시스템을 이용해서 처리 후 농도는 26.7 ppm을 나타냈다. 처리효율은 약 83.2%를 보였다. 메 틸에칠케톤의 경우 135.0 ppm이던 농도가 처리 후에 28.3 ppm으로 약 79%의 처리효율을 보였다. 이외에도 자일렌의 경우 26.7 ppm의 전처리 농도가 3.3%으로 낮 아졌으며, 부틸아세테이트도 비슷한 수준의 처리효 율을 보였다. Fig. 4.1에 개별 VOC의 처리효율을 나타 내었다.

    Fig. 4.2에서 보듯이 본 시스템을 통해서 처리되는 개별 VOC의 처리효율은 메틸에칠케톤이 79.0%로 가 장 낮고, 아세트알데하이드가 91.3%로 가장 높았으며, 처리효율의 평균값은 약 85.4%를 나타내었다.

    3.4 산화 촉매의 평가 결과

    THC 제거용 반응 시스템에서 촉매의 역할은 시스 템 열원 공급원과 동시에 THC 처리 역할을 하는 것 으로 보인다. 산화촉매 반응은 강한 발열반응이므로 THC 시스템에 필요한 열량은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THC 중 가장 대표적인 화합물인 톨루엔의 경우, 발 열량은 9,665 kcal/kg으로 발열량이 비교적 높다. 그리 고, 메탄가스 또한 발열량이 12,000 kcal/kg이다. 산화 촉매는 가스가 투입되는 양에 따라 발열반응의 속도 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반응 시스템에 필요한 열량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촉매 산화반응의 주요한 특징인 완전 산화 와 저부하 및 희박 조건의 산화반응으로 친환경적이 면서 운전비용까지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먼저 촉매 산화반응 중 가장 특징적인 완전 산화반응에 대 하여 살펴보면, 촉매 산화는 일반 화염 연소보다 낮 은 온도에서 산화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산화 중 발생되는 질소화합물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산화반응 중 생성되는 질소화합물은 연 소 온도가 1,000°C 이상에서 급격히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 화염연소는 기본적으로 1,200°C 이상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질소화합물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서 화염버너를 사용하는 산업현장에서는 질소화합물 이 자연적으로 발생한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산화 촉 매반응의 경우, 백금촉매를 사용하면 산화온도가 400°C 내외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촉매 또한 산화온도가 700~ 800°C이므로 질소화합물 발생은 10 ppm 미만으로 나 타난다. 또한 산화촉매는 산화가스와 공기 중 산소와 의 접촉이 화염연소 보다 원활하기 때문에 완전산화 를 구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불완전산 화반응 화합물인 일산화탄소 발생이 거의 없는 장점 이 있다. 본 시스템 또한 일산화탄소 발생량은 20 ppm 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른 한 가지 특징인 저부하 및 희박조건의 산화반 응은 최소한의 에너지만 투입하여 그 반응을 유지하 는 것으로, 일반 화염연소에서는 저부하 연소의 유지 가 힘든 단점이 있다. 화염연소의 경우, 메탄가스 기 준으로 연료농도가 최소한 7%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산화촉매에서는 화염연소 대비 10% 이하의 저 부하 및 희박 조건의 산화반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 소한의 가스양으로 촉매 시스템 운전을 진행 할 수 있 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투입되는 공기량은 약 8 Nm3/min이며, 투입 되는 메탄가스양은 약 36 L/min이다. 일반 화염연소 에서는 공기량이 약 8 Nm3/min이면 메탄가스는 약 800 L/min이 투입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 적용한 반응 시스템에서는 화염연소 대비 약 4.5%의 가스만 을 투입하여도 산화반응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없었 다. 이것은 촉매산화의 저부하 및 희박 조건의 산화 반응의 특징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4. 결 론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산화반응을 진행하는 Mn-Mg- Al2O3 촉매를 이용하여 THC 제거용 반응 시스템을 제 작하여, 산업현장에 적용하여 성능 평가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Mn-Mg-Al2O3 촉매는 고온에서 우수한 활성을 보이 는 헥사알루미네이트 구조와 함께 스피넬 구조가 동 시에 관찰되었다. 이것은 1,200°C의 고온에서 촉매를 소성하여 제조한 것과 함께 헥사알루미네트와 스피 넬 구조가 잘 이루어지는 성분이 고르게 조합되어 나 타났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산화촉매의 산화반 응은 아주 빠른 표면반응이므로, 약 5 m2/g 이상의 적 은 BET 표면적을 가져도 충분히 산화 반응을 일으키 는 데 문제가 없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THC 제거용 반응 시스템을 실 제 산업현장에서 적용하여 실 규모로 THC를 제거하 는 테스트를 진행한 하였다. 테스트 결과, THC 제거 효율은 99.5% ~ 99.9%로 높게 나타났다. 본 시스템을 통해서 처리되는 개별 VOC의 처리효율은 메틸에칠 케톤이 79.0%로 가장 낮고, 아세트알데하이드가 91.3% 로 가장 높았으며, 처리효율의 평균값은 약 85.4%를 나타내었다.

    이런 수치로 볼 때 기존에 THC 제거 성능을 보여 주는 RTO, RCO 시스템보다 성능이 우수했다. 이것은 산화촉매의 산화반응이 아주 빠른 촉매표면 반응이 며, 촉매 산화반응의 특징인 완전산화와 희박조건의 산화반응의 특징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THC 제거용 반응 시스템의 촉매 역할 은 시스템 열원 공급원과 동시에 THC를 처리하는 역 할을 한다고 본다. 이것은 산화촉매의 반응은 강한 발 열 반응이고 시스템에 필요한 열량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THC 성분의 결합을 끊어내는 산화 반응 또한 진행된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반응은 강한 발열반응으로 나타나며, 반응 시 시스템은 적은 가스로도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저자정보>

    심석원(박사과정), 박승준(교수)

    Figure

    JOIE-22-4-306_F1.gif

    Design concept of reaction system for THC removal.

    JOIE-22-4-306_F2.gif

    A XRD pattern of the prototype Mn-Mg-Al2O3 catalyst.

    JOIE-22-4-306_F3.gif

    A prototype reaction system for removing THC.

    JOIE-22-4-306_F4-1.gif

    Removal efficiency of VOCs for case A and case B.

    JOIE-22-4-306_F4-2.gif

    Removal efficiency of VOCs for case A and case B.

    Table

    Characteristics of Mn-Mg-Al2O3 catalyst

    Test results of pilot and field for THC removal

    THC removal efficiency for case A

    THC removal efficiency for case B

    VOCs removal efficiency for case A and B

    Reference

    1. Berenjian, A. , Chan, N. , Malmiri, H. J. ,2012.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moval Methods: a Review. American Journal of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8(4), 220- 229.
    2. Guo, Y. , Wen, M. , Li, G. , An, T. ,2021. Recent advances in VOC elimination by catalytic oxidation technology onto various nanoparticles catalysts: A critical review.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281, 119447.
    3. Hao, X. , Li, R. , Wang, J. , Yang, X. ,2018. Numerical simulation of a regenerative thermal oxidizer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treatment.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23(4), 397-405.
    4. Janine, L. , Michael, D. A. ,2004. Catalyic oxidation of chlorinated benzens over V2O5/TiO2 catalysts. Journal of Catalysis 223(2), 296-308.
    5. Lee, J. Y. , Song, H. J. , Lee, S. B. , Kim, M. H. , Jo, Y. M. ,2012. Catalytic Oxidation of Toluene over Pd-Activated Alumina Catalysts at Low Temperature.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29(2), 339-347.
    6. Ojala, S. , Koivikko, N. , Laitinen, T. , Mouammine, A. , Seelam, P. K. , Laassiri, S. , Ainassaari, K. , Brahmi, R. , Keiski, R. L. ,2015. Utiliz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s an Alternative for Destructive Abatement. Catalysts 5(3), 1092- 1151.
    7. Schenk, E. , Mieog, J. , Evers, D. ,2009. Fact Sheets on Air Emission Abatement Techniques. DHV B.V. Amersfoort, The Netherlands.
    8. Yang, Y. , Wang, G. , Fang, D. , Han, J. , Dang, F. , Yang, M. ,2020. Study of the use of a Pd-Pt-based catalyst for the catalytic combustion of storage tank VOCs.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45(43), 22732-22743.